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으름덩굴(아켈비아)! 효능부터 재배법까지 총정리!

by djb 2025. 6. 30.
반응형

 

자연 속의 보물 같은 식물, 으름덩굴(학명: Akebia quinata, 영어명: Akebia).
산속에 자생하던 이 덩굴식물이 최근엔

정원용 관상식물, 건강식품, 벽면녹화용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어요.

특히 독특한 보랏빛 꽃, 향기로운 열매, 강한 생명력 덕분에

원예 애호가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으름덩굴의 기본 정보부터 효능,

먹는 방법, 재배 방법, 유의사항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알려드릴게요 


으름덩굴이란? 🌸

으름덩굴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에 속하는

낙엽성 덩굴식물이에요. 우리나라, 중국,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자생하죠.
‘으름’, ‘으름나무’, ‘오랑캐덩굴’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, 학명은 Akebia quinata입니다.

  • 덩굴성 식물로 키우기 쉬움
  • 봄~초여름에 보라색 꽃 피고, 가을에 열매 맺음
  • 열매는 식용 가능하고, 줄기와 뿌리는 약용으로 활용

으름덩굴의 특징 한눈에 보기 🧐

항목 내용

학명 Akebia quinata
속명 Akebia (아켈비아)
생육 형태 낙엽성 덩굴식물
자생지 한국, 일본, 중국
꽃 피는 시기 4월~6월 (보라색 또는 자주색 꽃)
열매 맺는 시기 9월~10월 (보라색 껍질, 젤리 같은 과육)
주요 활용 관상용, 식용, 약용, 벽면 녹화
생장 속도 빠름 (하루에 20~30cm 자라기도 함)

으름덩굴의 효능과 활용법 💪

으름덩굴은 단순히 예쁜 식물에 그치지 않아요.

예부터 민간에서는 약용 식물로 널리 활용돼 왔죠.

주요 효능 정리

  • 이뇨 작용: 몸 속 노폐물과 독소 배출에 도움을 줘요.
  • 소염 및 진통 효과: 관절염이나 부종 증상 완화에 쓰였어요.
  • 신장 기능 개선: 전통 한방에서는 신장 관련 질환에 활용됨.
  • 스트레스 완화: 아로마 효과와 함께 긴장 완화에 도움.

💡 한방에서는 ‘목통(木通)’이라는 이름으로 으름덩굴의 줄기를 약재로 씁니다.

특히 차로 끓여 마시면 혈액 순환과 이뇨 작용에 효과적이에요.


으름덩굴 열매, 먹어도 될까? 🍇

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인데요!
네, 으름덩굴 열매는 먹을 수 있습니다.

  • 껍질은 먹지 않고 안의 젤리 같은 과육만 섭취
  • 맛은 약간 달콤하며 열대과일 느낌
  • 종자는 삼키지 않고 뱉는 것이 좋아요

으름덩굴 열매 먹는 방법

방법 설명

생과일 섭취 가을에 채취 후 껍질을 열고 안의 과육만 숟가락으로 퍼먹음
주스/스무디 활용 믹서에 갈아 씨를 걸러낸 후 음료로 섭취
잼 만들기 설탕과 함께 졸여 잼으로 활용 가능
열매 튀김 일본에서는 껍질을 튀겨 먹기도 함

으름덩굴 재배법, 어렵지 않아요! 🌱

으름덩굴은 생각보다 키우기 쉬운 식물이에요.

그만큼 초보자도 도전할 수 있고, 정원 꾸미기, 벽면 녹화, 울타리 식물로도 많이 활용됩니다.

기본 재배 조건

조건 설명

햇빛 반그늘~양지, 직사광선보다 산란광이 좋은 편
토양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, 유기질 많은 흙 선호
물 주기 여름엔 주 23회, 겨울엔 월 1회 이하
비료 봄철 새싹 나오기 전, 퇴비나 복합비료 소량 사용
번식 방법 씨앗 파종, 꺾꽂이, 포기나누기 모두 가능
지지대 필요 덩굴성이라 철사, 울타리, 아치형 지지대 필수

으름덩굴 재배 시 주의할 점 ⚠️

  • 생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공간 확보 필요
  • 벽이나 나무를 감싸며 자라니 지지 방향 설정 중요
  • 습한 환경에서는 곰팡이나 진딧물 발생 가능성 있으므로 통풍 관리 필요
  • 잎이 무성해질 경우 주기적인 가지치기로 햇빛 투과율 유지

으름덩굴 vs 유사 식물 구분법 🌿

으름덩굴과 비슷한 덩굴 식물이 많아 헷갈리시는 분들도 많아요.
특히 다섯 잎이 모여 난 형태가 비슷한 식물이 여럿 있죠.

 

구분 대상 차이점

으름덩굴 다섯 장의 손바닥형 잎, 자주색 꽃, 먹을 수 있는 열매 있음
머루덩굴 비슷한 덩굴형태지만 열매는 포도송이 형태, 잎 가장자리에 톱니 존재
새덩굴 으름과 유사하나 열매에 독성 있음 (식용 불가)
칡(갈근) 잎 형태는 비슷하지만 꽃이 자주색으로 다르고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

으름덩굴, 어디에 활용되나요? 🏡

  1. 정원 조경
    • 담장, 아치, 파고라에 식재하면 자연스럽고 그늘도 형성돼요.
  2. 벽면 녹화
    • 건물 외벽, 베란다, 옥상 공간에 활용 시 미세먼지 저감 효과도 있음.
  3. 자연 교육/원예치유 프로그램
    • 생장 속도가 빨라 관찰용으로 적합, 향기와 열매가 치유 효과도 줍니다.
  4. 식용 및 약용 활용
    • 과육은 디저트나 잼, 줄기는 차로 이용 가능

으름덩굴 관련 궁금증 Q&A 🧾

Q. 으름덩굴은 독성이 없나요?
A. 과육은 먹을 수 있지만, 씨앗과 껍질은 소화에 부담이 될 수 있으니

주의해야 합니다. 특히 과다 섭취는 피하세요.

 

Q. 씨앗으로도 번식이 되나요?
A. 네, 가능하지만 자연 상태에서는 새들이 먹고 배설하면서

번식되는 경우가 많아요. 인위적으로는 꺾꽂이와 포기나누기가 더 빠릅니다.

 

Q. 아파트 베란다에서도 키울 수 있나요?
A. 햇빛이 잘 드는 베란다라면 가능해요. 단, 지지대를 설치하고 가지치기를 자주 해줘야 공간을 침범하지 않아요.


결론 ✨

으름덩굴은 보기에도 아름답고, 향기롭고, 열매도 먹을 수 있으며,

재배도 쉬운 팔방미인 식물이에요.
정원이나 베란다에 한 그루 심어두면 매년 봄~가을까지

다양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아이들과 함께하는 자연 체험에도 딱이죠.
특히 자연 친화적 조경이나 건강한 먹거리

추구하는 분들에게 강력 추천하는 식물입니다. 
당장 오늘 으름덩굴과 가까워져보는 건 어떠세요?

 

반응형